‘8조 적자’ 한전, 부동산 매각 등 비상 대책에도 실효성 의문…왜?

‘8조 적자’ 한전, 부동산 매각 등 비상 대책에도 실효성 의문…왜?

  • 기자명 홍찬영
  • 입력 2022.05.19 15:09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홍찬영 기자]사상 최대 규모인 8조원의 영업손실을 낸 한국전력공사가 부동산·해외 발전소 매각 등 자구안을 총동원해 재무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다만 적자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목되는 ‘민간발전사 전력구입비’에 대한 논의는 담기지 않아, 해당 자구안으로 재무개선은 쉽지 않을 것이란 시각이 나오기도 한다.

한국전력은 지난 18일 서울 서초구 한전 아트센터에서 ‘전력그룹사 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재무개선안을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이는 사상 최대 규모의 적자 위기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일환이다. 한전은 지난 1분기에만 7조7869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지난해 연간 영업손실도 6조원에 달했다.

한전은 이번 회의를 통해 부동산 매각과 연료비 절감 등 동원 가능한 방안을 모두 추진해 재무 개선을 이뤄낼 것이란 계획을 세웠다.

구체적으로 발전사의 유연탄 공동 구매를 확대하고, 발전 연료 도입선을 다양화하는 등 다각적인 전력 생산원가 절감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특히 한전 보유 지분과 부동산을 매각해 유동성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한전이 매각 대상으로 꼽은 보유 지분은 한전기술 지분 14.77%, 한국전기차충전 지분 등이다.

그 밖에 한전KDN 등 비상장 자회사의 지분은 정부와 협의를 거쳐 상장한 뒤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해외 석탄발전소 역시 단계적으로 철수하고 일부 가스 발전사업 매각도 검토한기로 했다. 이같은 방안들을 통해 약 6조원의 재무 개선을 이뤄내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대규모 영업손실의 근본 원인은 그대로 남아 있어 이러한 조치가 실효성이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한전이 적자를 기록한 가장 큰 요인은 민간발전사 전력구입비가 꼽힌다. 한전은 1분기에 전력판매량 증가 등으로 매출액이 1조3729억원이 증가했으나 연료비·전력구입비도 9조7254억원 증가했다. 매출액 증가보다 연료비·전력구입비 증가세가 7~8배 가파르다 보니, 이에 따른 손실이 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이 연료비·전력구입비에서 민간발전사의 전력구입비 증가액수는 무려 5조5838억원이다.  자회사 연료비 증가액수는 3조6824억원으로 나타났다.

즉 이같은 민간발전사로부터 전기를 비싸게 산 뒤 싼 가격으로 가정과 공장에 공급하는 구조가 바뀌지 않으면 한전의 재무 상황은 악화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이에 전기요금이라도 올려야 영업손실이 어느정도 상쇄될 터지만, 문재인 정부의 전기요금 동결 기조로 인해 이마저도 녹록치 않았다.
 

일각에선 한전의 재무상황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전력구매단가(SMP) 상한제 도입 등을 거론하기도 한다.
 

다만 전력구매단가 상한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검토를 진행 중이지만 실제 도입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지난 2013년에도 전력구매단가 상한제 도입이 논의됐지만 무산된 바 있다.

민간발전사가 전기생산 시장에서 전기를 30%에 달하는 전기를 생산하고 있는 데, 해당 방안이 도입되면 영업이익이 제한될 수 있다는 민간발전사들의 반발 때문이었다.

더퍼블릭 / 홍찬영 기자 chanyeong8411@thepublic.kr 

더퍼블릭 / 홍찬영 chanyeong8411@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