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부담 주요국 2위 등극한 韓...한은 “DSR·LTV 규제 강화해야”

가계빚 부담 주요국 2위 등극한 韓...한은 “DSR·LTV 규제 강화해야”

  • 기자명 신한나
  • 입력 2023.07.18 12:22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서울 한 은행에서 시민이 대출창구 앞을 지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퍼블릭 = 신한나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 부채 증가세가 주요국 중 두 번째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 부문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13.6%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코로나19 9 확산 직전인 2019년 12.2%과 비교했을 때 1.4%p 증가한 수치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핀란드(0.3%포인트)와 일본(0.2%포인트), 프랑스(0.1%포인트) 등 6개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에서 2019년 대비 2022년 DSR이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DSR 13.6%은 호주(14.7%)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미국(7.6%)과 일본(7.5%)의 2배 수준으로 이탈리아(4.3%)보다는 3배 이상 컸다.

DSR은 소득 대비 대출원리금 상환액을 보는 것으로 높으면 소득에 비해 빚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한국은행도 가계 빚 증가세를 우려하고 나섰다.

17일 한은은 ‘BOK 이슈노트-장기구조적 관점에서 본 가계부채 증가의 원인과 영향 및 연착륙 방안’을 통해 “정책 측면에서 DSR 예외 대상 축소와 LTV 수준별 차등금리 적용, 일시상환방식에 대한 가산금리 적용 등을 통해 대출 수요를 조절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전세대출 보증한도 조정, 기업대출 유동화 지원 등을 통해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취급유인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한은에 따르면 2010년 주요 43개국 중 14번째로 높은 수준이던 우리나라의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은 2022년 4분기 기준 스위스(128.3%), 호주(111.8%)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준(105.0%)을 기록했다.

가계 대출 증가 원인은 주요국에 비해 DSR 도입이 늦어 대출 시점과 종류에 따라 상당수의 대출이 이를 적용 받지 않고 있다는 점과 전세대출의 확대가 그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DSR 대상이 모든 매출이 포함된 사례도 있지만, 우리나라는 전세나 중도금 등 일부에만 적용해 운용이나 개인들도 이해하기 쉽지 않다”면서 “제도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점진적으로 모든 대출을 DSR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더퍼블릭 / 신한나 기자 hannaunce@thepublic.kr 

더퍼블릭 / 신한나 hannaunce@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